미나리아재빗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2미터 정도이며, 몸 전체에 털이 없다. 잎은 세 갈래 또는 다섯 갈래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7~8월에 보라색 꽃이 줄기 끝과 가지 끝에 총상(總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골돌과(蓇葖果)로 10월에 익는다. 산지에서 자라며 한국의 함경도ㆍ강원, 만주, 우수리 강, 아무르 등지에 분포한다.
국화과의 숙근성 여러해살이풀. 삼잎국화의 변종으로, 키는 1.5~2미터 정도이다. 근생엽은 5~7열로 갈라져서 나오고, 줄기에서 나오는 잎은 3~5열로 갈라져서 나온다. 꽃은 노란색 겹꽃으로 7~8월에 피는데, 직경은 6~10cm이고 중심부는 황록색이다. 국내에서 노지 월동이 가능하며, 토질을 가리지 않고 잘 자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