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크스주의 이론에 입각한 영화 비평 방법론. 역사적 유물론과 계급론을 기초로 하여 영화의 사회 문화적 성격을 밝히는 데 기여하였고 각국의 영화 운동에 많은 영향을 끼쳤는데, 특히 예이젠시테인의 몽타주 이론과 프랑스 영화 비평에 큰 영향을 주었다. 오늘날 라캉, 알튀세르 등의 후기 구조주의 이론과 결합하면서 그 외연을 넓혀나가고 있다.
프랑스의 육팔 혁명 이후 조직된 영화 집단. 누벨바그 감독인 고다르가 정치적인 영화 만들기를 지향하며 조직한 집단으로 70년대 초반까지 이 집단의 이름으로 여러 편의 정치 영화를 만들었다. 마르크시즘의 이념을 따르며 정치적으로 진보적인 형식을 추구했던 고다르는 이 집단의 이름을 1920년대 소비에트 연방의 다큐멘터리 작가인 베르토프에게서 따왔다.
1951년 프랑스에서 바쟁 등에 의해 창간된 영화 전문 비평지. 세계적으로 가장 권위 있는 영화 잡지 중의 하나로, 1950년대 중반 작가주의 비평을 발전시키는 기반이 되었다. 69 혁명을 거치면서 모더니즘에서 마르크시즘으로 방향을 선회하면서 정치적으로 급진적인 성향을 띄게 되었다. ⇒규범 표기는 미확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