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실행 성능을 평가하는 방법의 하나.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평가 단위에서는 실수, 기억 장소 접근 등과 같이 특정한 분야에 한정된 명령어만 반복적으로 실행하여 생산된 데이터를 성능 평가의 척도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는 과정에서는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의 명령어들이 혼재되어 실행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실제 상황에 적합하도록 여러 가지 유형의 명령들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전체적인 시스템의 실행 성능을 비교한다.
비언어적 의사소통에서 전달자와 수용자 사이의 물리적 거리가 표현과 소통의 중요한 유형이라고 보고 이를 연구하는 분야. 문화 인류학자인 홀(Hall, E. T.)이 주창한 이론으로, 사람들이 상황에 따라 이용하는 공간의 거리를 친밀한 거리, 개인적 거리, 사회적 거리, 공적 거리의 네 가지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는데, 거리가 멀수록 업무적이고 공식적인 상황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