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사전 본문

  • 날카롭지 못하여 들지 않다
형태분석 [+무디_다]
변화 <무디어/무뎌, 무디니>

뜻/문법

사전 종류
형용사 뜻별예문열기
(1)

(기본의미) [()] (뾰족하거나 날카로와야 사물) 날카롭지 못하여 들지 않다.

  • 송곳이 무디다

  • 끌칼이 무디어 일이 안된다.

반의어
예리하다(銳利--)(2)
유의어
둔하다(鈍--)(4)
(2)

[()] (사실 감지()하는 신경이) 둔하고 더디다.

  • 신경이 무디다

  • 말귀가 무디다

반의어
예민하다1(銳敏--)(1)
유의어
둔하다(鈍--)(2),뜨다14(2)
(3)

[()] (소리) 경쾌하지 않고 투박하다.

  • 소란한 쇳소리에 섞인 무딘 북소리가 이상하게도 가장 멀리까지 퍼졌다.

  • 내 손을 빠져나간 돌멩이는 어둠 속을 한참을 날아가더니 툭, 하고 무딘 소리를 내며 떨어졌다.

유의어
둔하다(鈍--)(5)
(4)

[()] (행동이나 손놀림) 빠르지 못하고 둔하다.

  • 우리 어머니는 손끝이 무디어 매듭도 잘 못 풀고 바늘귀도 잘 못 꿰신다.

  • 날씨가 너무 추우면 긴장도 더 되고 연필을 쥔 손가락 끝도 무디게 되어 실력 발휘를 잘 못하는 법이다.

유의어
둔하다(鈍--)(1)
(5)

[()] (이나 행동) 문제 핵심 찌르는 날카로움이나 표현력 없다.

  • 필력이 무디다

  • 그녀는 입술은 무디어도 붓끝은 날카로운 언론인이었다.

어원
무듸다 ≤월석13:38≥

관련어

반의어 2건
유의어 2건

예문

다음사전 앱
150건
  • 소란한 쇳소리에 섞인 무딘 북소리가 이상하게도 가장 멀리까지 퍼졌다. (→무디다)
  • 그는 주변 사람들의 반응에 조금 무뎌요. (→무뎌요)
  • 이 칼은 날이 무디오. (→무디오)
  • 말을 해 놓고 보니 무디고 상스러운 표현이라, 스스로 생각해도 싫었다. (→무디다)
  • 이번 언론 통폐합 조치에는 대중의 비판적 의식을 무디게 하여 독재를 장기화하려는 음모가 숨어 있다고 생각한다. (→무디다)
더보기

서비스 바로가기

메일받은메일수

메일함이 없습니다
메일함 생성을 위해선 Daum아이디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