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사전 본문

  • 1.어떤 기준 비추어 보아 어긋남 없다
  • 2.잊었던 갑자기 생각해 내거 어떤 문득 깨달았을 내는
발음 [올타] 듣기 반복듣기

뜻/문법

사전 종류
발음 [올타] 듣기 반복듣기
형태분석 [+옳_다]
형용사 뜻별예문열기
(1)

(기본의미) [()][() ()어야] (언행, 또는 사람 어찌해야) 어떤 기준 비추어 보아 어긋남 없다.

  • 네 말을 듣고 보니 철수의 행동이 옳구나.

  • 나는 선생님의 말씀이 구구절절이 옳다고 생각했다.

반의어
그르다(1),나쁘다1(2)
유의어
마땅하다(1),바르다3(2),올바르다
(2)

[()] (무엇) 사실 어긋남 없다.

  • 비가 올 거라던 영주의 말이 옳았다.

  • ‘책이예요’가 아니라 ‘책이에요’라고 해야 옳다.

반의어
틀리다1(1)
유의어
정하다4(正--)(2)
(3)

((주로옳게 쓰여)) (물건이 일의 모양새) 제대로 되어 흠잡을 없다.

  • 문이나 창문 위치로 보아 이 방은 가구들이 옳게 놓여 있다.

  • 제사상을 옳게 차린 걸 보니 이제 종가 살림살이도 제법 익혔나 보다.

(4)

((주로옳겠다 쓰여)) (다른 보다 어떤 ) 차라리 낫다.

  • 여기서 빈둥거리는 것보다 차라리 애들 공부를 봐 주는 것이 옳겠다.

  • 그 돈을 주고 미국에 가느니 부모님을 백두산 관광을 보내드리는 것이 옳겠어요.

어원
옳다 ≤용가39장≥
더보기
  • 잊었던 갑자기 생각해 내거 어떤 문득 깨달았을 내는
더보기

관련어

반의어 3건
  • 틀리다 '다르다' 비표준어, 맞지 않고 어긋나다, 지루하거나 아파서 비비 꼬이게 돌아가다
  • 나쁘다 성질이나 내용 보통보다 낮다, 차지 않는 상태 있다
  • 그르다 어떤 기준 비추어 보아 옳지 않다
유의어 4건
  • 오랫동안 지내 오면서 생기는 사랑하는 마음이나 친근한 마음
  • 올바르다 옳고 바르다
  • 바르다 표면 고루 묻히다, 비뚤어지거나 굽은 없이 곧거나 반듯하다
  • 마땅하다 이치 보아 당연하다

관용구/속담

속담 1건

예문

다음사전 앱
746건
  • 적어도 남만큼 한 충성심을 인정받으면서, 자기가 믿는 바대로 남은 세월을 조용히, 그러나 자기 힘이 미치는 너비에서 옳게 써 나간다는 삶조차도 꾸리지 못하게 될 것이 뻔했다. (→조용히)
  • 정치가가 지방색을 내세우며 파벌을 만드는 것은 옳지 못한 태도이다. (→지방색)
  • 아무도 이것을 ‘강남콩’이라고 발음하지 않기 때문에 ‘강낭콩’을 옳은 표기로 인정했다. (→발음하다)
  • 저분의 행동이 옳아요? (→옳아요)
  • 옳은 것과 그른 것을 분명히 가려서 행동할 줄 알아야 한다. (→분명히)
더보기

서비스 바로가기

메일받은메일수

메일함이 없습니다
메일함 생성을 위해선 Daum아이디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