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사전 본문

  • 고려 시대, 중앙 지방 관청 속해 있던 하급 관리
발음 [이ː서]

뜻/문법

사전 종류
이-서 [] 단어장 저장
더보기
이서 [西] 단어장 저장
  • 어떤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그 서쪽.
더보기
이-서 [] 단어장 저장
  • 조선 인조 때의 공신(功臣)(1580~1637). 자는 인숙(仁叔). 호는 월봉(月峯). 인조반정 때에 공을 세워 호조 판서가 되고, 1626년에 수어사(守禦使)가 되어 남한산성을 쌓고 병자호란 때에 북문(北門)을 지키다가 죽었다. 저서에 ≪화포식언해(火砲式諺解)≫가 있다.
더보기
이서 [] 단어장 저장
  • 민법에서, 채권 양도(債權讓渡)의 의사 표시를 증권의 뒷면에 기재하는 일. 교부(交付)와 함께 채권 양도의 성립 요건 또는 효력 발생 요건이 되며, 배서인(背書人)의 서명(署名)이나 기명날인(記名捺印)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더보기
이서 [] 단어장 저장
  • 해와 달 또는 밤과 낮을 희고 검은 두 마리의 쥐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더보기
  • 다람쥣과의 하나. 몸의 길이는 15~20cm이고 옆구리에 비막을 가지고 있다. 등은 회색 또는 갈색, 배는 흰색이다. 야행성으로 나무에서 나무로 날아다니며 나는 거리는 8미터 정도이다. 곤충, 나무열매 따위를 먹는다. 인도 북부, 시베리아에서 한국, 일본 등지에 걸친 산지의 산림에 분포한다. 천연기념물 정식 명칭은 ‘하늘다람쥐’이다.
더보기
이서 [] 단어장 저장
  • 중국 한대(漢代)의 공문서 가운데 같은 등급의 관아 사이에 주고받던 공문서. 때로는 격(檄)과 더불어 포고문의 성격을 띠기도 하였다.
더보기
이서 [] 단어장 저장
  • 그리 흔하지 아니한 진기한 책.
더보기
이서 [] 단어장 저장
  •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우리말을 적은 표기법. 신라 때에 발달한 것으로, 넓은 의미로는 향찰, 구결 및 삼국 시대의 고유 명사 표기 따위의 한자 차용 표기법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 쓰나, 일반적으로는 한자를 국어의 문장 구성법에 따라 고치고 이에 토를 붙인 것을 이른다.
더보기
이서 [] 단어장 저장
  • 관아에 속하여 말단 행정 실무에 종사하던 구실아치. 고려 시대에는 중앙의 각 관아에 속한 말단 행정 요원만을 가리켰으나, 조선 시대에는 경향(京鄕)의 모든 이직(吏職) 관리를 뜻하였다.
더보기
이서 [] 단어장 저장
  • 촌락의 하급 관리.
더보기
이서 [西] 단어장 저장
  • 이미 서쪽으로 기욺.
더보기

관련어

유의어 13건
  • 하늘다람쥐 포유류 다람쥣과 속한
  • 진서 한글 언문이라 낮춘 대하여, 한자 한문 높여 이르던
  • 진본 저자 또는 화가 직접 쓰거 그린 , 글씨, 그림 따위 이르는
  • 전서 어떤 사람 지은 모두 모아 질로 만든
  • 이투 신라 부터 한자 빌어 우리말 적던 차자 표기법
더보기

예문

다음사전 앱
74건
  • 석양이 이서하다. (→이서하다)
  • 안에서는 수십 명의 여학생들이 울면서 밀고 나오려 하고, 밖에서는 남학생들이 몇이서 필사적으로 닫고 있다. 안을 들여다보니 아이들이 밀고 때리고 밑에 깔리고 하여 난장판이다. (→난장판)
  • 대관령을 경계로 하여 그 이서를 영서라 한다. (→이서)
  • 그들은 낮에도 단둘이서만 절간 뒤 후미진 계곡의 바위 틈새 같은 곳에서 만났다. (→후미지다)
  • 단둘이서만 이야기할 기회를 주려고 어머니는 자리를 피해서, 영신과 정근은 피차에 최후의 담판을 개시하였다. (→개시하다)
더보기

서비스 바로가기

메일받은메일수

메일함이 없습니다
메일함 생성을 위해선 Daum아이디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