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사전 본문

  • 신라 부터 한자 빌려 우리말 적던 차자 표기법
발음 [이:-]
형태분석 [{한국식 한자}吏札]

뜻/문법

사전 종류
명사

[언어] 신라 부터 한자() 음과 빌려 우리말 적던 차자() 표기법. 또는 문자. 넓은 의미 향찰이나 구결 포함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한문 국어 어순 따라 배열하고 이에 붙인 이른다. 고려 조선 시대에는 관공 문서 서리들이 주로 사용하였다.

유의어 더보기
이도1(吏道)(2), 이두1(吏讀)(1), 이서8(吏書), 이토2(吏吐)...

관련어

유의어 5건
  • 이투 신라 부터 한자 빌어 우리말 적던 차자 표기법
  • 이토 빛깔 붉고 차진 , 신라 부터 한자 빌려 우리말 적던 차자 표기법
  • 이서 고려 시대, 중앙 지방 관청 속해 있던 하급 관리
  • 이두 신라 부터 한자 음과 빌려 우리말 적던 차자 표기법
  • 이도 벼슬아치로서 마땅히 지켜야 도리

예문

다음사전 앱
43건
  • 사진에 몽타주하거나 컴퓨터 그래픽처럼 합성한 이차적 저작물의 경우 원작과 별도로 저작물로 보호되지만 이 경우 원작자의 허가가 필요하다. (→이차적 저작물)
  • 이차 충치는 썩는 위치가 치아 중간을 관통하는 경우가 많고, 충치의 속도도 빨라 처음 충치보다 더 심각한 질환으로 번질 수 있다. (→이차 충치)
  • 이차 대전 당시 나치 정부는 유대 인에게 상품을 불매하려는 움직임을 점점 노골화했다. (→불매하다)
  • 전자가 충돌한 뒤에는 입사된 전자와 이차전자를 구별할 수 없다. (→이차 전자)
  • 회의를 이차, 삼차 거듭했으나 결론은 나지 않았다. (→이차)
더보기

서비스 바로가기

메일받은메일수

메일함이 없습니다
메일함 생성을 위해선 Daum아이디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