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검색어가 없습니다.
[역사] 조선 시대, 전강(殿講), 절일제(節日製), 황감제(黃柑製), 통독(通讀), 외방 별과(外方別科), 권무과(勸武科) 등에 합격한 사람이 곧 복시(覆試)나 전시(殿試)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얻는 일.
[역사] 조선 시대, 승보(陞補), 사학 합제(四學合製), 공도회(公都會) 등에 합격한 사람이 곧 생진시(生進試)의 복시(覆試)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얻던 일.
[역사] 조선 시대, 권무과나 외방 별과에 합격한 사람이 곧바로 무과의 전시에 응할 수 있는 자격을 얻던 일.
[역사] 조선 시대, 과거에 급제하고 아직 벼슬을 하지 못한 사람을 이르던 말.
확인을 누르시면 새로 만든 단어장으로 자동 저장됩니다.
저장할 단어장이 없습니다.단어장을 만들어주세요.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 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메일함이 없습니다메일함 생성을 위해선 Daum아이디가 필요합니다
사전에 없는 단어나 내용 오류, 오타를 신고해 주세요.
등록해 주신 내용은 운영자의 검토를 거쳐, 서비스에 반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