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사전 본문

  • 예전 계급 사회에서, 벼슬 없는 일반 백성
형태분석 [平民]

뜻/문법

사전 종류
(1)

예전 계급 사회에서, 벼슬 없는 일반 백성.

  • 그는 대표적인 평민 출신의 의병 지도자였다.

  • 이 작품은 몰락 양반 혹은 평민 지식인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참고어
귀족(貴族)(1)
유의어 더보기
상민(常民), 상사람(常--), 서민(庶民)(2), 서인2(庶人), 양민...
(2)

[역사] 고대 로마에서 귀족 구별되는 일반 시민.

  • 고대 로마에서는 평민의 세력이 강하여 평민 의회에서 독자적인 입법권을 행사하기도 하였다.

반의어
귀족(貴族)(1)
(3)

(기본의미) 특권 계급 아닌 보통 사람.

  • 힘없는 평민을 대변한다는 국회 의원이 오히려 특권층이 되어 있는 것이 정치의 현실이다.

유의어 더보기
평인(平人)(1), 서민(庶民)(1), 여서2(黎庶), 하민(下民), 백...

관련어

반의어 1건
  • 귀족 혈통, 문벌, 공적 등에 의해 정치적, 사회적 특권 가지게 사람
유의어 11건
  • 하민 벼슬 하지 않은 일반 평민
  • 평인 일정한 사회에서, 높은 지위 있거나 권력, 가지고 있지 않은 보통 사람
  • 여수 여우 방언
  • 여서 하다하다 끝나는 용언 어간 붙어, 절의 내용 절의 내용 대한 이유 근거 나타내는
  • 양인 조선 시대, 양반 천민 사이 중간 계층 이르던
더보기

예문

다음사전 앱
71건
  • 조선 후기에 들어 유명․무명의 작가들에 의해 평민의 생활이 다양한 방식으로 기록되게 되었다. (→무명)
  • 책장마다 위계에 따라 이 지방의 현관(顯官), 사대부, 평민에 이르기까지 신분, 재산, 봉록 등이 깨알처럼 적혀 있다. (→사대부)
  • 평민들이 억울하게 남형을 받는 폐단이 없지 않을 듯하니, 묘당에서 엄중하게 신칙하는 것이 옳겠다. (→남형)
  • 사설시조는 시조의 기준율에서 벗어난 평민들의 소유물이었다. (→기준율)
  • 자크 루이 다비드가 그린 ‘나폴레옹 대관식’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평민 출신으로 왕좌에 오른 나폴레옹이 추구했던 것은 황제가 다스렸던 로마 시대의 영광을 자신이 황제가 되어 구현하는 것이었습니다. (→나폴레옹 대관식)
더보기

서비스 바로가기

메일받은메일수

메일함이 없습니다
메일함 생성을 위해선 Daum아이디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