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사전 본문

  • 우리나라 성의 하나
발음 [김:] 듣기 반복듣기

뜻/문법

사전 종류
발음 [김:] 듣기 반복듣기
명사
(1)

(기본의미) 액체 상태 물질 받아서 기체 상태 변한 .

  • 희선이가 김이 나는 떡국을 들고 방으로 들어왔다.

  • 비에 젖은 창민이의 어깨에서 김이 모락모락 피어올랐다.

유의어
가스(gas)(3),기체1(氣體),증기1(蒸氣)(1)
(2)

수증기 기운 받아서 엉긴 작은 물방울.

  • 창에 김이 서리다

  • 기철이는 안경에 서린 김을 닦아 내려고 안경을 벗었다.

유의어
수증기(水蒸氣)
(3)

맥주 탄산음료 특유 .

  • 김이 빠져서 그런지 맥주가 별로 맛이 없다.

(4)

에서 나오는 더운 기운.

  • 사람들 입에서 김이 나는 것을 보니 날씨가 몹시 추운가 보다.

어원
김 ≤월석22:42≥
더보기
  • 홍조류 속한 해조 하나
더보기
  • 우리나라 성의 하나
더보기
  • 논밭 잡풀
더보기
  • ‘-/ 김에 구성으로 쓰여, 어떤 행하는 기회 계기 나타내는
더보기
  • '개암' 방언
더보기

관련어

유의어 11건
  • 해의 홍조식물 보라털과 속한 바닷말
  • 청태 가지
  • 증기 물이 받아서 기체 상태
  • 잡초 가꾸지 않아도 저절로 나서 자라 여러 가지 , 추려 뽑아 쓰다
  • 악유 가꾸지 않아도 저절로 나서 자라 나쁜 , 피륙 여러 으로 이어 둘러치는 넓은
더보기

관용구/속담

관용구 1건
속담 2건

예문

다음사전 앱
7,120건
  • 예화는 아버지가 벗어 주는 대로 모자며 두루마기며 저고리를 받아 홰대에 걸쳐 놓고 급한 에 방 안으로 끌고 들어온 단장만 집어 들고 밖으로 나갔다. (→홰대)
  • 그녀는 잠시 주저하는 기색이었으나 내친 에 말하겠다는 표정으로 계속했다. (→내치다)
  • 한국 사학계(史學界)의 큰 기둥인 교수가 오늘 자택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 (→숙환)
  • 누군가 서방에게 잡혀서 즉살되기 전에 도망가라고 알려 주었다. (→즉살되다)
  • 선생 말이, 원래 다 남의 떡이 더 커 보이지 않겠느냐는구나. (→느냐는구나)
더보기

서비스 바로가기

메일받은메일수

메일함이 없습니다
메일함 생성을 위해선 Daum아이디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