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사전 본문

  • 하는 마음 들지 않고 싫다
발음 [-따]
형태분석 [+밉_다]
변화 <미워, 미우니> ㅂ 불규칙

뜻/문법

사전 종류
형용사
(1)

[() ()] (사람 무엇) 하는 마음 들지 않고 싫다.

  • 고운 정보다 미운 정이 무서워.

  • 그 집 시어머니는 며느리가 미워서 하는 일마다 트집을 잡곤 한다.

유의어
거슬리다1(1)
(2)

(기본의미) [()] (생김새 모양) 볼꼴 없다.

  • 생김새가 밉다고 해서 마음마저 미운 것은 아니다.

  • 혜선이는 워낙 얼굴이 예뻐서 삭발을 해도 밉지가 않았다.

유의어
못나다(2),못생기다,추하다1(醜--)(2)
어원
믭다 ≤석보9:17≥

관련어

유의어 4건
  • 흉하게 여겨 정도 못생기다
  • 못생기다 얼굴이나 생김새 잘나지 못하다
  • 못나다 성품이나 자질, 능력 따위 일반적 경우 비해 많이 부족하다
  • 거슬리다 순순히 받아들여지지 않아 언짢고 불쾌함 느끼다, 감귤 나무 따위 잔가지 치거나 거친 부분 다듬다

관용구/속담

속담 1건
  • 밀양 싸움 단판 결말 나지 않고 옥신각신 승강이 오래 끌어 이르는

예문

다음사전 앱
209건
  • 그 죄악을 감추려고 좌청우촉을 하러 권력자의 집 문턱이 닳도록 댁대령을 하는 것이 밉다는 것이다. (→좌청우촉)
  • 너도 엄마가 미웠겠구나. (→구나)
  • 한번 밉게 본 다음부터는 탈을 잡으려고 안달이다. (→탈)
  • 때리는 사람보다 말리는 사람이 더 미울 때가 있다. (→말리다)
  • 친구가 날 꼬여서 내가 이 꼴이 됐구나 알았을 때에는, 그렇게도 친구가 밉더니…. (→꼬이다)
더보기

서비스 바로가기

메일받은메일수

메일함이 없습니다
메일함 생성을 위해선 Daum아이디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