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사전 본문

  • 조선 선조 , 송강 정철 지은 가사
형태분석 [思美人曲]

뜻/문법

사전 종류
고유명사

[문학] 조선 선조 , 송강() 정철() 지은 가사. 1585(선조 18) 관직에서 물러나 고향 창평에서 4 동안 지내면, 임금 그리는 남편에게 버림받은 여인 남편 그리워하는 형식으로 읊었다. 《송강가사()》 전한다.

예문

다음사전 앱
8건
  • 강호가 좋네, 자연이 좋네 하며 벼슬을 떠나고, 때로는 왕권이나 제도에 제법 따가운 비판도 가하지만 내심으로 부르는 노래는 언제나 사미인곡이다. (→왕권)
  • 강호가 좋네, 자연이 좋네 하며 벼슬을 떠나고, 때로는 왕권이나 제도에 제법 따가운 비판도 가하지만 내심으로 부르는 노래는 언제나 사미인곡이다. (→따갑다)
  • 서울시 무용단은 사미인곡을 기존의 한국 무용 레퍼토리를 나열하던 갈라식 공연을 지양하고 전통 춤사위를 노래와 영상, 이야기가 어우러진 종합 무용극으로 발전시킨다는 의도로 이 시리즈를 기획했다. (→종합 무용극)
  • 조선 시대 가사 문학의 백미는 송강 정철의 <사미인곡>이다. (→백미)
  • 정철은 연군의 마음을 여인의 심정으로 표현한 가사 <사미인곡>과 <속미인곡>을 지었다. (→연군)
더보기

서비스 바로가기

메일받은메일수

메일함이 없습니다
메일함 생성을 위해선 Daum아이디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