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사전 본문

  • 조선 말기 학자
형태분석 [丁若鏞]

뜻/문법

사전 종류
고유명사

[인명] 조선 말기 학자(1762~1836). 자는 미용()이고 다산(), 사암(), 여유당(), 자하도인()이다. 유형원(), 이익() 학문 사상 계승하여 조선 후기 실학 집대성했다. 신유사옥 유배되어 18년의 유배 기간 동안 독서 저술 기울여 학문 체계 완성했다. 저서목민심서()》, 《흠흠신서()》 등이 있다.

예문

다음사전 앱
50건
  • 그는 18세기 말엽 이승훈, 정약용 등 신진 유학자들이 유교 사상과 천주교를 조화시키려 한 보유론은 세계 천주교회사에 유례가 없는 진취적인 자세라고 높이 평가했다. (→보유론)
  • 전남 강진군은 30일부터 한 달 동안 다산 유물 전시관에서 정약용 선생 유물 특별 전시회를 연다. (→다산 유물 전시관)
  • 다산 정약용은 정조의 명으로 경기도 암행어사가 되어 연천 방면으로 나가게 되었다. (→연천)
  • 다산 정약용 선생은 조선 말기 실사구시(實事求是)의 사상, 즉 현실의 일들에서 뜻이나 원리를 구한다는 사상을 크게 진작시킨 실학사상(實學思想)의 집대성자이다. (→구하다)
  • 다산 정약용은 북한에서 조선의 마르크스로 부각될 뻔하다가 주체사상에 걸려 관념론적 복고주의자로 전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고주의자)
더보기

서비스 바로가기

메일받은메일수

메일함이 없습니다
메일함 생성을 위해선 Daum아이디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