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 현대 국어 ‘헝겊’의 옛말인 ‘헌것’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헌것’은 동사 ‘헐다’에 관형사형 어미 ‘-ㄴ’이 결합한 ‘헌-’과 명사 ‘것’이 결합한 합성어이다. 16세기에 제2음절의 첫소리 ‘ㄱ’의 영향으로 제1음절의 끝소리 ‘ㄴ’이 ‘ㆁ’으로 변하여 ‘것’이 되었다. 17세기 이후 ‘ㆁ’을 표기에 사용하지 않게 되면서 ‘헝것’으로 표기하게 되었다. 19세기에는 제2음절의 종성이 ‘ㅅ’에서 ‘ㅂ’으로 바뀐 ‘헝겁’이 등장하였는데, 이러한 변화의 이유는 분명하지 않다. 20세기에 와서 ‘헝겁’이 다시 ‘헝겊’으로 바뀌어 현재에 이르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