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사전 본문

  • 조선 시대, 궁중이나 양반 집안 부녀자 나들이할 얼굴 가리기 위하여 쓰던 쓰개 하나

뜻/문법

사전 종류
명사
(1)

(기본의미) [민속] 조선 시대, 궁중이나 양반 집안 부녀자 나들이할 얼굴 가리기 위하여 쓰던 쓰개 하나. 얼굴 위치하는 부분 망사 대어 있도록 하였다.

  • 머리에 너울을 쓴 별당 아씨가 가마에서 내렸다.

유의어
개두(蓋頭)(3),몽수1(蒙首)
(2)

[민속] 으로 드러나 보이는 모습 비유적으로 이르는 .

  • 사람의 너울을 쓴 사람이 어떻게 그런 잔인한 짓을 할 수 있니?

(3)

[민속] 햇볕 쬐어 시들어 늘어진 풀이 나뭇잎.

어원
너울 ≤가례8:3≥
더보기
  • 바다 같은 넓은 에서, 크게 움직이는 물결
더보기
  • '' 방언
더보기
  • '' 방언
더보기
  • '여울' 방언
더보기
  • '면사포' 방언
더보기
  • '덩굴' 방언
더보기

관련어

유의어 2건
  • 몽수 예전, 부녀자 밖에 나갈 에게 얼굴 보이 않으려고 머리 덮어쓰던
  • 개두 예전, 국상 왕비 이하 나인 머리 쓰는 쓰개 하나 이르던

관용구/속담

관용구 1건
  • 너울을 쓰다 속이나 진짜 내용은 그렇지 않으면서 그럴듯하게 좋은 명색을 내걸다.
속담 1건
  • 너울 쓴 거지 몹시 배가 고파 체면 차릴 여지 없게 처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예문

다음사전 앱
67건
  • 오동나무 잎이 너울거리는 언덕길을 올라가며 그는 이제부터 정신 바짝 차려야 한다는 다짐을 몇 번씩 자신에게 했다. (→다짐)
  • 몇 겹의 산줄기는 바다의 너울과도 같아 나무 사이로 짙은 보랏빛의 기복을 보여 주고 있었다. (→너울)
  • 호롱불이 흔들릴 때마다 뒷그림자도 함께 너울거린다. (→뒷그림자)
  • 흰나비 한 마리가 너울거리며 밭이랑을 난다. (→너울거리다)
  • 파도가 너울거리다 (→너울거리다)
더보기

서비스 바로가기

메일받은메일수

메일함이 없습니다
메일함 생성을 위해선 Daum아이디가 필요합니다